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나는 여신보다 사이보그가 되겠다

책 속 한 문장, 또는 장소

by 참도깨비 2021. 9. 8. 08:39

본문

사이보그 이미지는 두 개의 핵심 주장을 표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첫째, 보편적이고 총체화하는 이론을 고안하면, 아마도 언제나, 지금은 확실히, 현실 전반을 놓치는 큰 실수를 저지르게 된다. 둘째, 과학기술의 사회관계에 대한 책임은, 반과학적 형이상학과 기술의 악마학을 거부함으로써, 타자와 부분적으로 연결되고 우리를 이루는 부분 모두와 소통하면서 일상의 경계를 능숙하게 재구성하는 작업을 해내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과학기술은 인간을 만족시킬 수단이나 복합적 지배의 기반만 되는 것이 아니다. 사이보그 이미지는 우리 자신에게 우리의 몸과 도구를 설명해왔던 이원론의 미로에서 탈출하는 길을 보여줄 수 있다. 이것은 공통 언어를 향한 꿈이 아니라, 불신앙을 통한 강력한 이종언어를 향한 꿈이다. 이것은 신우파의 초구세주 회로에 두려움을 심는, 페미니스트 방언의 상상력이다. 이것은 기계, 정체성, 범주, 관계, 우주 설활르 구축하는 동시에 파괴하는 언어이다. 나선의 춤에 갇혀 있다는 점에서는 마찬가지이지만, 나는 여신보다는 사이보그가 되겠다.

-도나 해러웨이, <사이보그 선언> 중에서

'책 속 한 문장, 또는 장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수빗자루  (0) 2021.09.08
손두부  (0) 2021.09.08
말을 장악하면 사물은 절로 이어지는 것  (0) 2021.09.08
완성된 시, 영원히 존재할 시, 숨결 같은 승리!  (0) 2021.09.08
약초꾼  (0) 2021.09.08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